콘텐츠로 건너뛰기

제9회 캣츠랩 콜로키움

인공지능으로 과제를 하면 부정행위인가? 인공지능으로 과제를 하면 부정행위인가? 이 물음은 인공지능을 통한 과제 수행, 더 나아가 학습 전반에서 과연 학습자의 ‘학습’이 일어나고 있는지, 일어난다면 어디에서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는지를 묻는 질문으로 확장할 수 있다. 특히 Chat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인공지능은 웹/앱을 통해… 더 보기 »제9회 캣츠랩 콜로키움

2025 겨울 집중 강좌

1 – 신유물론이라는 성좌 신유물론이 소개된 지도 꽤나 시간이 지났지만 여전히 그것이 무엇이고 어떤 문제의식을 갖고 있는지, 어떤 개념과 질문, 방법을 다루며 또 무엇과 대결하고자 하는지 등은 명쾌하게 다가오지 않는 듯합니다. 이론의 생명이란, 결국 얼마큼 대중의 사유 속으로 깊이 파고들… 더 보기 »2025 겨울 집중 강좌

제8회 캣츠랩 콜로키움

연극적 다크 투어리즘과 그 너머: 관광객의 철학으로 읽은 야마우치 겐지의 『안경부부의 이스탄불 여행기』 본 논문은 야마우치 겐지의 『안경부부의 이스탄불 여행기』를 대상으로 재난에 대한 연극적 응답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여기서 재난은 1차적으로는 3·11 또는 후쿠시마(Fukushima)라는 레테르로 흔하게 통칭되는 동일본대지진을 가리킨다. 그리고 야마우치 겐지의 텍스트는 그에 대한 하나의… 더 보기 »제8회 캣츠랩 콜로키움

2024 가을 세미나

1 – 인공지능은 나의 읽기-쓰기를 어떻게 바꿀까 리터러시 생태계의 변동을 사유하고 읽고 쓰는 존재들과 연대하기 생성형 인공지능의 부상과 미디어 환경의 변동 속에서 리터러시 생태계의 급속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읽기쓰기,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업무방식에 대해 이야기하는 목소리가 사회 곳곳에… 더 보기 »2024 가을 세미나

제7회 캣츠랩 콜로키움

인공지능은 나의 읽기-쓰기를 어떻게 바꿀까: 지금 준비해야 할 문해력의 미래 생성형 인공지능의 부상에 따라 리터러시 생태계가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인간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읽기와 쓰기의 영역에서 기계와의 공존과 갈등을 피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의 읽기와 쓰기는 어떻게 변화해야 할까? 그 가운데 여전히… 더 보기 »제7회 캣츠랩 콜로키움

2024 여름 강좌

1 – 퀴어-시민의 기쁨과 슬픔 이 강좌는 최근의 퀴어문학 담론을 소수자정치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문화적 실천으로 독해합니다. 특히 동시대 퀴어문학이 제기하는 ‘시민-되기’ 전략을 검토하고, 이때 수반되는 정치적 딜레마를 탐구합니다. 이를 통해 포스트페미니즘 시대 퀴어시민권에 대한 한국문학(장)의 서사적 상상력을 분석하고자 합니다.  * 강사: 오혜진 | 문학평론가 「포스트페미니즘 시대… 더 보기 »2024 여름 강좌

제6회 캣츠랩 콜로키움

만화와 기술, 그 역사를 늘어놓기 이 연구는 만화의 역사를 기술을 초점에 두고 재구하려 한다. 이때 만화는 『만화의 이해』(스콧 맥클라우드)에서 소급해 갔던 동굴 벽화에서부터 현대 한국의 주류 만화로 자리잡은 웹툰까지를 포괄한다. 근년까지, 혹은 AI 광풍이 몰아치기 전까지 만화의 기술적 차원은 주로 종이와… 더 보기 »제6회 캣츠랩 콜로키움

제5회 캣츠랩 콜로키움

알렉스넷과 구글의 고양이: 인공지능에 대한 기술/인문학적 접근 본 연구는 2012년의 두 실험, 즉 약칭 ‘알렉스넷’과 ‘구글의 고양이’에 대한 기술공학적인 분석을 통해 이것이 과연 어떤 이유에서 인공지능 개발사에 종별적인 차이와 함께 커다란 변혁을 가져왔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특히 두 실험의 핵심 기술인… 더 보기 »제5회 캣츠랩 콜로키움

2024 봄 만화재즈카페

캣츠랩 2024 봄 만화재즈카페[파일럿] 새터데이 만화재즈카페 | 마스터 김상민, 조익상 캣츠랩이 만화방과 재즈카페로 바뀌는 시간입니다.  공통:  *파일럿 타임: 3월 9일 *(만화방과 재즈카페) 통합 신청만 가능합니다. *간단한 음료가 한 잔 제공됩니다. *오후 2시~9시까지 자유롭게 이용 가능합니다. *단, 오후 6시~7시 저녁 식사 시간 동안에는… 더 보기 »2024 봄 만화재즈카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