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회 캣츠랩 콜로키움
생성형 인공지능의 출현, 그리고 미디어 재현의 문제들 본 연구에서는 생성 인공지능 기술을 다루는 동시대 한국 주류 언론의 담론 경향을 추적해본다.기존까지의 AI가 데이터와 패턴을 학습해 대상을 이해하는 기술이었다면, 생성 AI는 축적된 데이터와의 비교 학습을 통해 스스로 창작물을 탄생시킨다는 특징을 갖는다. 그래서인지 2022년, 생성 인공지능 챗GPT가 상용화 된 이후… 더 보기 »제3회 캣츠랩 콜로키움
생성형 인공지능의 출현, 그리고 미디어 재현의 문제들 본 연구에서는 생성 인공지능 기술을 다루는 동시대 한국 주류 언론의 담론 경향을 추적해본다.기존까지의 AI가 데이터와 패턴을 학습해 대상을 이해하는 기술이었다면, 생성 AI는 축적된 데이터와의 비교 학습을 통해 스스로 창작물을 탄생시킨다는 특징을 갖는다. 그래서인지 2022년, 생성 인공지능 챗GPT가 상용화 된 이후… 더 보기 »제3회 캣츠랩 콜로키움
비판적 인공지능 읽기 Critical AI Reading 캣츠랩이 인공지능에 대한 공부를 다시 궁리합니다. 2023년 8개월여 동안 한국에서는 ‘인공지능’ 관련서가 600권 이상, KCI 등재지 논문은 800편 이상 출간되었습니다. 책과 논문이 공부를, 지식을 대변하는 것이라면 이미 우리는 인공지능에 대해 꽤 많이 알고 있어야 할… 더 보기 »2023 가을 세미나
[강좌 #1] 질적 연구는 저도 처음이라… 질적 연구는 기본적으로 연구자 본인의 현장 조사를 전제로 합니다. 연구를 설계하고 연구 참여자와 대면하고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고 자료의 분석과 해석을 하는 일련의 과정은 저에게 두려움 반, 설렘 반입니다. 많은 질적 연구 가이드북이 이론적인 연구의… 더 보기 »2023 여름 집중 강좌
인공지능과 수행성의 미학 본 연구는 생성 인공지능을 활용한 이머시브 연극/퍼포먼스를 계기로 삼아, 인공지능의 수행성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현대 연극이 신체에 과도한 중요성을 책정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기인한 본 연구의 시도는 에리카 피셔-리히테가 주장한 수행성의 미학을 비판적 준거로 삼는다. 신체에 기호화될 수… 더 보기 »제2회 캣츠랩 콜로키움
생성 인공지능의 부상과 리터러시 생태계의 변동 : 과정, 전도, 저자성과 윤리, 삶의 속도, 그리고 다른 리터러시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생성 인공지능이 급속히 확산되고 인공지능 활용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요구가 거세지는 지금, 리터러시 실천가와 연구자들이 ‘더욱 진보한 리터러시’의 담지자로서 새로운 흐름을 자연화하기… 더 보기 »제1회 캣츠랩 콜로키움
1. 신유물론 세미나 (김상민), 4월 17일(월) ~ 6월 5일(월), 저녁 7~9시 – 도나 해러웨이, <트러블과 함께하기> – 도나 해러웨이, <종과 종이 만날 때> 2. 인공지능 세미나 2 (박승일), 4월 18일(화) ~ 6월 13일(화), 저녁 7~9시 (6월 6일은 휴강) – 백욱인, <인공지능 시대… 더 보기 »2023 봄 세미나
1. 신유물론 세미나 신유물론 세미나 (김상민), 1월 9일(월) ~ 3월 6일(월), 저녁 7~9시 <에일리언 현상학 혹은 사물의 경험은 어떠한 것인가>, <예술과 객체> 2. 인공지능 세미나 1 인공지능 세미나 1 (박승일), 1월 10일(화) ~ 4월 4일(화), 저녁 7~9시 <AI 지도책>, <정보사회의 철학>, <강한 인공지능과 인간>… 더 보기 »2023 겨울 세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