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2025 봄 세미나 – 퀑탱 메이야수 [유한성 이후] 읽기

퀑탱 메이야수 [유한성 이후] 읽기 근대 이후, 구성된 주체에 앞질러 부과되어 있는 불가능성을 중심으로 하나의 부정신학적 시스템이 구축되면서, 온갖 종류의 가치론적 수사가 창궐했으며 마침내 사유의 엄밀성은 진정성이나 다양성과 같은 나르시시즘적 정체성에 밀려 자신의 정당한 자리를 상실한 듯 보인다. 하지만 모든… 더 보기 »2025 봄 세미나 – 퀑탱 메이야수 [유한성 이후] 읽기

2025 겨울 집중 강좌

1 – 신유물론이라는 성좌 신유물론이 소개된 지도 꽤나 시간이 지났지만 여전히 그것이 무엇이고 어떤 문제의식을 갖고 있는지, 어떤 개념과 질문, 방법을 다루며 또 무엇과 대결하고자 하는지 등은 명쾌하게 다가오지 않는 듯합니다. 이론의 생명이란, 결국 얼마큼 대중의 사유 속으로 깊이 파고들… 더 보기 »2025 겨울 집중 강좌

2024 가을 세미나

1 – 인공지능은 나의 읽기-쓰기를 어떻게 바꿀까 리터러시 생태계의 변동을 사유하고 읽고 쓰는 존재들과 연대하기 생성형 인공지능의 부상과 미디어 환경의 변동 속에서 리터러시 생태계의 급속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읽기쓰기,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업무방식에 대해 이야기하는 목소리가 사회 곳곳에… 더 보기 »2024 가을 세미나

2024 봄 세미나

현대 미디어 철학 세미나 – 첫 번째 시즌: 『디지털적 대상의 존재에 대하여』 읽기 “디지털적 대상에 의해 구성되는 세계는 또한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에게 새로운 기호론을 제공하는데, 이 기호론에서 시니피앙/시니피에 관계는 완전히 깨지지는 않겠지만 더 이상 일관성 있게 남아… 더 보기 »2024 봄 세미나

2023 겨울 세미나

1. 신유물론 세미나 신유물론 세미나 (김상민), 1월 9일(월) ~ 3월 6일(월), 저녁 7~9시 <에일리언 현상학 혹은 사물의 경험은 어떠한 것인가>, <예술과 객체> 2. 인공지능 세미나 1 인공지능 세미나 1 (박승일),  1월 10일(화) ~ 4월 4일(화), 저녁 7~9시 <AI 지도책>, <정보사회의 철학>, <강한 인공지능과 인간>… 더 보기 »2023 겨울 세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