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블루] 북토크 @캣츠랩
기술에 휩쓸린 시대를 살아가는 마음들AI에 흔들리고 절망하고 기대는 마음들 “어느 정도 경지에 이른 IT 전문가가 아니고서야 낮은 레벨까지는 챗GPT로 대체 가능하다고 보거든요.”“AI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더더욱 이런 소통과 교육의 과정이 번거롭게 느껴지지 않을까요?”“이제는 웹에서 잘 그린 그림을 봤을 때 딱 이런… 더 보기 »[AI블루] 북토크 @캣츠랩
제9회 캣츠랩 콜로키움
인공지능으로 과제를 하면 부정행위인가? 인공지능으로 과제를 하면 부정행위인가? 이 물음은 인공지능을 통한 과제 수행, 더 나아가 학습 전반에서 과연 학습자의 ‘학습’이 일어나고 있는지, 일어난다면 어디에서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는지를 묻는 질문으로 확장할 수 있다. 특히 Chat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인공지능은 웹/앱을 통해… 더 보기 »제9회 캣츠랩 콜로키움
2025 겨울 집중 강좌
1 – 신유물론이라는 성좌 신유물론이 소개된 지도 꽤나 시간이 지났지만 여전히 그것이 무엇이고 어떤 문제의식을 갖고 있는지, 어떤 개념과 질문, 방법을 다루며 또 무엇과 대결하고자 하는지 등은 명쾌하게 다가오지 않는 듯합니다. 이론의 생명이란, 결국 얼마큼 대중의 사유 속으로 깊이 파고들… 더 보기 »2025 겨울 집중 강좌
2024 가을 세미나
1 – 인공지능은 나의 읽기-쓰기를 어떻게 바꿀까 리터러시 생태계의 변동을 사유하고 읽고 쓰는 존재들과 연대하기 생성형 인공지능의 부상과 미디어 환경의 변동 속에서 리터러시 생태계의 급속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읽기쓰기,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업무방식에 대해 이야기하는 목소리가 사회 곳곳에… 더 보기 »2024 가을 세미나
제7회 캣츠랩 콜로키움
인공지능은 나의 읽기-쓰기를 어떻게 바꿀까: 지금 준비해야 할 문해력의 미래 생성형 인공지능의 부상에 따라 리터러시 생태계가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인간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읽기와 쓰기의 영역에서 기계와의 공존과 갈등을 피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의 읽기와 쓰기는 어떻게 변화해야 할까? 그 가운데 여전히… 더 보기 »제7회 캣츠랩 콜로키움
제5회 캣츠랩 콜로키움
알렉스넷과 구글의 고양이: 인공지능에 대한 기술/인문학적 접근 본 연구는 2012년의 두 실험, 즉 약칭 ‘알렉스넷’과 ‘구글의 고양이’에 대한 기술공학적인 분석을 통해 이것이 과연 어떤 이유에서 인공지능 개발사에 종별적인 차이와 함께 커다란 변혁을 가져왔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특히 두 실험의 핵심 기술인… 더 보기 »제5회 캣츠랩 콜로키움
제4회 캣츠랩 콜로키움
AI 생성 이미지와 예술의 문제들 본 연구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인공지능의 활용이 예술의 영역에서 두드러지고 있는 상황에서 인공지능이 생성하는 이미지와 예술의 관계에 대해 몇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기반해 창작된 시각예술작품에 대해 인공지능을 작품의 창작자나 저자로 인정할… 더 보기 »제4회 캣츠랩 콜로키움
제3회 캣츠랩 콜로키움
생성형 인공지능의 출현, 그리고 미디어 재현의 문제들 본 연구에서는 생성 인공지능 기술을 다루는 동시대 한국 주류 언론의 담론 경향을 추적해본다.기존까지의 AI가 데이터와 패턴을 학습해 대상을 이해하는 기술이었다면, 생성 AI는 축적된 데이터와의 비교 학습을 통해 스스로 창작물을 탄생시킨다는 특징을 갖는다. 그래서인지 2022년, 생성 인공지능 챗GPT가 상용화 된 이후… 더 보기 »제3회 캣츠랩 콜로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