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튀세르와 함께 ⟪자본⟫을 읽자
게오르그 루카치와 함께 서방 마르크스주의의 역사를 만든 인물이자 현대 프랑스철학 즉 (포스트-)구조주의의 시작점을 정초한 핵심 인물인, 그만큼 여러 가지 얼굴을 가지고 있는 신비로운 광인 철학자 루이 알튀세르의 저서 ⟪‘자본’을 읽자⟫를 함께 읽습니다.
강사의 공역으로 2024년 그린비 출판사에서 곧 출간될 ⟪‘자본’을 읽자⟫는 역시 알튀세르가 쓴 ⟪마르크스를 위하여⟫와 하나의 쌍을 이루면서 여러 현대 비판사상들의 교차점을 형성한 책입니다. 이제 ⟪‘자본’을 읽자⟫와 ⟪마르크스를 위하여⟫ 모두가 한국어로 번역되어 이 교차점을 알튀세르 자신의 육성으로 들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두 저서는 정말 많은 배경 지식 없이는 혼자 읽어나가기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그것이 고전의 정의 그 자체이기도 하겠지만, 그럼에도 본 강의는 수강자들이 조금이라도 더 효율적으로 그리고 정확히 이 교차점에 접근할 수 있도록 ⟪‘자본’을 읽자⟫를 친절히 해설합니다. 물론 당연히도 ⟪마르크스를 위하여⟫ 또한 한 번의 강의를 할애해 그 핵심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것인데, 이는 ⟪마르크스를 위하여⟫와 ⟪‘자본’을 읽자⟫가 하나의 쌍을 이루는 텍스트이기에 생략할 수 없는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강의의 전반부에는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핵심에서부터 마르크스의 ⟪자본⟫의 핵심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배경 지식을 설명하고, 강의의 후반부에는 ⟪‘자본’을 읽자⟫를 함께 읽으며 그 핵심을 해설합니다.
* 강사: 배세진(정치철학자, ⟪‘자본’을 읽자⟫의 공역자, 연세대학교 강사)
* 주차별 내용
1주(1월 3일 수요일) : 최근 출간된 알튀세르의 ⟪역사에 관한 글들⟫에 관한 무료 공개 대담
– 1주차 무료 강좌만 들으실 분들은 줌으로만 수강이 가능합니다.
2주(1월 10일 수요일) : 알튀세르의 철학적 궤도 해설
3주(1월 17일 수요일) : ⟪마르크스를 위하여⟫ 해설
4주(1월 24일 수요일) : 마르크스의 ⟪자본⟫ 해설
5주(1월 31일 수요일) : 알튀세르적 ⟪자본⟫ 독해 해설
6주 (2월 7일 수요일) : ⟪‘자본’을 읽자⟫ 중 ⟨’자본’에서 마르크스의 철학으로⟩ 해설
7주(2월 14일 수요일) : ⟨‘자본’의 대상⟩ 해설 (1)
8주(2월 21일 수요일) : ⟨‘자본’의 대상⟩ 해설 (2)
9주(2월 28일 수요일) : 강의 내용 전체 종합정리
* 수강료: 20만원(온라인/오프라인/녹화영상 동일)
* 일시: 1월 3일 ~ 2월 28일(매주 수요일 저녁 7:30 – 9:30) 총 9회(1주차 강의는 온라인 무료 공개)
* 장소: 서울시 마포구 서강로 126 4층 캣츠랩(오프라인 수강 20명 선착순 마감, 온라인 제한 없음)
* 문의: catslab126@gmail.com

영어로 논문쓰기: 읽기+쓰기 통합전략을 중심으로
영어논문쓰기 학습은 흔히 영어실력을 충분히 늘리고 학술적 글을 최대한 많이 써보는 일로 인식됩니다. 하지만 영어논문쓰기는 단순히 영어에 대한 지식을 넘어 논문 장르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 나아가 읽기와 쓰기를 유기적으로 엮어내는 작업을 요구합니다. 영어, 논문, 읽기, 쓰기를 ‘영어+논문+(읽기+쓰기)’의 관점에서 살피고 익혀야 하는 것입니다.
본 강의는 영어논문 작성에 필요한 지식을 읽기와 쓰기의 통합의 관점에서 논의합니다. 기존의 다독이나 다작 전략을 넘어, ‘분석적 읽기’, ‘쓰기를 위한 읽기’ 방법론을 익히고 적용합니다. 아울러 생성형 인공지능의 윤리적이고 지혜로운 활용 방법을 탐구합니다. 나아가 ‘저자로서의 연구자’라는 정체성을 함께 고민하면서 더 나은 삶과 사회를 위한 쓰기와 연구 수행을 논의합니다.
* 강사: 김성우(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 강사, 캣츠랩 연구위원)
* 수강료: 20만원(온라인/오프라인 동일)
* 일시: 1월 4일~2월 1일(매주 목요일 오후 7:30~9:30) 총 5회 강의
* 장소: 서울시 마포구 서강로 126 4층 캣츠랩
* 동영상 강의는 따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 문의: catslab126@gmail.com
* 주차별 내용
1회차 (1월 4일 목요일)
(1) 읽기와 쓰기의 인지과정을 통해 본 다독다작 방법론의 문제점
(2) 쓰기를 위한 영어 능숙도 향상을 위해 고려해야 할 점
(3) 학술 논문의 개념적 이해: 사고 체계로서의 논문의 구조와 기능
2회차 (1월 11일 목요일)
(1) 논문 쓰기를 위한 영어 기초체력 배양 방법론
(2) 장르이론으로 본 연구 논문
(3) 장르분석의 기초: 초록을 중심으로
3회차 (1월 18일 목요일)
(1) 논문 섹션, 읽기와 쓰기 통합으로 접근하기 1: 서론의 구조와 전개
(2) 논문 섹션, 읽기와 쓰기 통합으로 접근하기 2: 문헌리뷰의 구성과 구성요소
4회차 (1월 25일 목요일)
(1) 논문 섹션, 읽기와 쓰기 통합으로 접근하기 3: 논의의 구조와 전개
(2) ‘학자의 마인드 해킹’의 관점에서 본 논문
(3) Academic Phrasebank 소개 및 학습법
5회차 (2월 1일 목요일)
(1) 생성형 인공지능, 윤리적이고 지혜롭게 활용하기
(2) 슬기로운 투고와 수정 생활
(3) 저자로서의 연구자: 정서, 정체성, 커뮤니티
* 이런 분들을 초대합니다!
– 영어 논문의 세계에 입문하며 저자로서의 첫걸음을 내딛는 석박사 대학원생
– 영어 논문의 전형적 구조와 내용을 정리하고자 하는 신진 연구자
– 영문 아카데믹 라이팅 전반에 관한 이해를 도모하여 학술 문해력을 갖추고자 하는 일반인
– 영어 논문지도에 체계를 더하고 싶은 지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