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제10회 캣츠랩 콜로키움

유튜브는 다양성의 정치가 가능한 플랫폼인가? 유튜브 생태계는 사람들이 즐겨보는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나아가 자극적인 콘텐츠가 수없이 생산되는 플랫폼이다. 이는 크게 두 가지 이유에서 연원하는데 첫째, 유튜브가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중추적인 허브를 지향하는 플랫폼이란 점에서 이를 유추할 수 있으며, 둘째, 조회 수 중심의… 더 보기 »제10회 캣츠랩 콜로키움

[책] 불가능한 애도

고해종 연구위원이 참여한 책, [불가능한 애도]를 소개합니다. 책소개 『불가능한 애도』라는 제목에서 말하는 ‘불가능성’은 죽음으로 인해 부재하는 망자와의 관계에 관한 전제 조건이다. 그런데 이 불가능성은 우리에게 새로운 관계의 가능성 또는 개방성, 관계의 열림을 고지한다. 불가능성을 함의하는 ‘실재’가 정신분석 실천의 바탕이자 초석이듯,… 더 보기 »[책] 불가능한 애도

2025 봄 세미나 – 퀑탱 메이야수 [유한성 이후] 읽기

퀑탱 메이야수 [유한성 이후] 읽기 근대 이후, 구성된 주체에 앞질러 부과되어 있는 불가능성을 중심으로 하나의 부정신학적 시스템이 구축되면서, 온갖 종류의 가치론적 수사가 창궐했으며 마침내 사유의 엄밀성은 진정성이나 다양성과 같은 나르시시즘적 정체성에 밀려 자신의 정당한 자리를 상실한 듯 보인다. 하지만 모든… 더 보기 »2025 봄 세미나 – 퀑탱 메이야수 [유한성 이후] 읽기

2025 봄 세미나 – 사랑과 돌봄과 노동

사랑과 돌봄과 노동 ‘연프’(연애 프로그램)가 보여주는 것은 무엇이며, 감추는 것은 무엇인지 고민하다가 이와 관련된 세미나를 열게 되었습니다. 모이라 와이글의 <사랑은 노동> 책을 같이 읽어 나간다면, 자발적인 ‘사랑’이라 여긴 행위들이 어떠한 측면에서 만들어진 ‘노동’이었음을 절감할 수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 ‘정상적인’ 사랑과… 더 보기 »2025 봄 세미나 – 사랑과 돌봄과 노동

2025 봄 특별 강좌 – 떠먹는 미디어 철학 요거트

떠먹는 미디어 철학 요거트 – 시즌1, 2 ‘유튜브가 내란의 한 원인이라고?’ 이 농담 같은 현실을 우리는 살아가고 있습니다. 미디어가 단지 정보를 실어 나르는 수단이 아니라 오히려 현실 자체를 만들어 내는 힘이라면, 그에 대한 사유와 질문, 비판은 결코 선택사항일 수 없습니다.… 더 보기 »2025 봄 특별 강좌 – 떠먹는 미디어 철학 요거트

2025 봄 세미나 – 정치와 언어: 프레임과 은유, 그리고 극우담론의 이해

정치와 언어: 프레임과 은유, 그리고 극우담론의 이해 ‘정치는 말로 하는 것’ 혹은 ‘정치는 언어의 예술’ 따위의 진술이 강조하듯 언어는 정치의 중심에 있다. 정치의 모든 과정에 언어가 개입한다는 것, 정치의 제반 과정이 언어로 매개된다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이는 어쩌면 당연한 언술이다. 하지만… 더 보기 »2025 봄 세미나 – 정치와 언어: 프레임과 은유, 그리고 극우담론의 이해

[AI블루] 북토크 @캣츠랩

기술에 휩쓸린 시대를 살아가는 마음들AI에 흔들리고 절망하고 기대는 마음들 “어느 정도 경지에 이른 IT 전문가가 아니고서야 낮은 레벨까지는 챗GPT로 대체 가능하다고 보거든요.”“AI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더더욱 이런 소통과 교육의 과정이 번거롭게 느껴지지 않을까요?”“이제는 웹에서 잘 그린 그림을 봤을 때 딱 이런… 더 보기 »[AI블루] 북토크 @캣츠랩

[책] 가족신분사회

김소형 연구위원이 참여한 <가족신분사회: 호주제 폐지 이후의 한국가족정치>를 소개합니다. 책소개 2005년 2월 3일, 헌법재판소는 호주제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이로써 한국사회의 성차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던 호주제가 폐지되었다. 가장에게 가족 내 친권과 재산권 등을 독점케 하고 그것을 남성 직계비속에게 우선 세습하는… 더 보기 »[책] 가족신분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