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2024 가을 세미나

1 – 인공지능은 나의 읽기-쓰기를 어떻게 바꿀까 리터러시 생태계의 변동을 사유하고 읽고 쓰는 존재들과 연대하기 생성형 인공지능의 부상과 미디어 환경의 변동 속에서 리터러시 생태계의 급속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읽기쓰기,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업무방식에 대해 이야기하는 목소리가 사회 곳곳에… 더 보기 »2024 가을 세미나

제7회 캣츠랩 콜로키움

인공지능은 나의 읽기-쓰기를 어떻게 바꿀까: 지금 준비해야 할 문해력의 미래 생성형 인공지능의 부상에 따라 리터러시 생태계가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인간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읽기와 쓰기의 영역에서 기계와의 공존과 갈등을 피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의 읽기와 쓰기는 어떻게 변화해야 할까? 그 가운데 여전히… 더 보기 »제7회 캣츠랩 콜로키움

2024 여름 강좌

1 – 퀴어-시민의 기쁨과 슬픔 이 강좌는 최근의 퀴어문학 담론을 소수자정치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문화적 실천으로 독해합니다. 특히 동시대 퀴어문학이 제기하는 ‘시민-되기’ 전략을 검토하고, 이때 수반되는 정치적 딜레마를 탐구합니다. 이를 통해 포스트페미니즘 시대 퀴어시민권에 대한 한국문학(장)의 서사적 상상력을 분석하고자 합니다.  * 강사: 오혜진 | 문학평론가 「포스트페미니즘 시대… 더 보기 »2024 여름 강좌

제6회 캣츠랩 콜로키움

만화와 기술, 그 역사를 늘어놓기 이 연구는 만화의 역사를 기술을 초점에 두고 재구하려 한다. 이때 만화는 『만화의 이해』(스콧 맥클라우드)에서 소급해 갔던 동굴 벽화에서부터 현대 한국의 주류 만화로 자리잡은 웹툰까지를 포괄한다. 근년까지, 혹은 AI 광풍이 몰아치기 전까지 만화의 기술적 차원은 주로 종이와… 더 보기 »제6회 캣츠랩 콜로키움

제5회 캣츠랩 콜로키움

알렉스넷과 구글의 고양이: 인공지능에 대한 기술/인문학적 접근 본 연구는 2012년의 두 실험, 즉 약칭 ‘알렉스넷’과 ‘구글의 고양이’에 대한 기술공학적인 분석을 통해 이것이 과연 어떤 이유에서 인공지능 개발사에 종별적인 차이와 함께 커다란 변혁을 가져왔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특히 두 실험의 핵심 기술인… 더 보기 »제5회 캣츠랩 콜로키움

2024 봄 만화재즈카페

캣츠랩 2024 봄 만화재즈카페[파일럿] 새터데이 만화재즈카페 | 마스터 김상민, 조익상 캣츠랩이 만화방과 재즈카페로 바뀌는 시간입니다.  공통:  *파일럿 타임: 3월 9일 *(만화방과 재즈카페) 통합 신청만 가능합니다. *간단한 음료가 한 잔 제공됩니다. *오후 2시~9시까지 자유롭게 이용 가능합니다. *단, 오후 6시~7시 저녁 식사 시간 동안에는… 더 보기 »2024 봄 만화재즈카페

2024 봄 세미나

현대 미디어 철학 세미나 – 첫 번째 시즌: 『디지털적 대상의 존재에 대하여』 읽기 “디지털적 대상에 의해 구성되는 세계는 또한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에게 새로운 기호론을 제공하는데, 이 기호론에서 시니피앙/시니피에 관계는 완전히 깨지지는 않겠지만 더 이상 일관성 있게 남아… 더 보기 »2024 봄 세미나

제4회 캣츠랩 콜로키움

AI 생성 이미지와 예술의 문제들 본 연구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인공지능의 활용이 예술의 영역에서 두드러지고 있는 상황에서 인공지능이 생성하는 이미지와 예술의 관계에 대해 몇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기반해 창작된 시각예술작품에 대해 인공지능을 작품의 창작자나 저자로 인정할… 더 보기 »제4회 캣츠랩 콜로키움

2024 겨울 집중 강좌

알튀세르와 함께 ⟪자본⟫을 읽자 게오르그 루카치와 함께 서방 마르크스주의의 역사를 만든 인물이자 현대 프랑스철학 즉 (포스트-)구조주의의 시작점을 정초한 핵심 인물인, 그만큼 여러 가지 얼굴을 가지고 있는 신비로운 광인 철학자 루이 알튀세르의 저서 ⟪‘자본’을 읽자⟫를 함께 읽습니다.  강사의 공역으로 2024년 그린비 출판사에서 곧 출간될… 더 보기 »2024 겨울 집중 강좌